맨위로가기

에밀 자크-달크로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밀 자크-달크로즈는 1865년 빈에서 태어난 스위스의 작곡가이자 음악 교육가이다. 그는 제네바 음악원 화성학 교수로 재직하며 리듬 체조를 개발하여 음악 교육에 혁신을 가져왔다. 달크로즈는 신체 움직임을 통해 음악의 리듬을 체득하게 하는 유리드믹스(Eurhythmics)를 창안했으며, 솔페지와 즉흥 연주를 융합한 독창적인 교수법을 개발했다. 그의 교육법은 20세기 음악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의 음악가 - DJ 보보
    DJ 보보는 1990년대 유로댄스 음악을 대표하는 스위스 출신 디스크 자키이자 가수로, "Somebody Dance with Me" 등의 히트곡으로 국제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월드 뮤직 어워드에서 6회 수상하고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참가하기도 했다.
  • 음악 이론 - 악보
    악보는 음의 높낮이와 길이, 악기, 연주법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호 체계로, 오선, 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를 사용하여 음악을 기록하고 전달하는 매체이다.
  • 음악 이론 - 음이름
    음이름은 조나 스케일과 관계없이 음의 높이를 나타내는 명칭으로, 서양 음악에서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각국별 표기법과 옥타브 구별법, 그리고 비서양 음악의 음이름 및 계명도 존재한다.
에밀 자크-달크로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에밀 자크-달크로즈
에밀 자크-달크로즈
본명에밀 앙리 자크
출생1865년 7월 6일
출생지, 오스트리아 제국
사망1950년 7월 1일
사망지제네바, 스위스
국적스위스
다른 이름에밀 자크-달크로즈
직업작곡가
음악가
교육자
활동 기간알 수 없음
알려진 업적달크로즈 유리드믹스
학력
모교빈 음악원
음악 경력
악기바이올린
장르클래식 음악
직업바이올리니스트

2. 생애

에밀 자크는 1865년 에서 태어났으며, 이후 에밀 자크-달크로즈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그의 어머니 쥘리 자크는 음악 교사였고, 아버지는 스위스 시계 판매원이었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음악을 접했으며, 어머니의 영향으로 일찍이 음악 공부를 시작했다. 10세 때 가족과 함께 스위스 제네바로 이사했고, 1877년 제네바 음악원에 입학했다. 그는 제네바 칼리지에서도 공부했지만, 학생들의 관심사를 고려하지 않는 '감옥'과 같은 곳으로 여겼다.

1881년, 그는 연극, 글쓰기, 음악, 연극, 오페라 공연에 전념하는 학생 단체인 문학 협회에 참여했고, 그 당시 작곡에 더 관심이 있었다. 1884년, 레오 들리브가브리엘 포레에게 작곡을 배웠고, 같은 해 코미디 프랑세즈의 주요 배우들에게 연기를 배웠다. 더 나아가, 마티스 루시에게 작곡을 배우면서 리듬 개발 과정에 영향을 받았다. 1886년, 알제리에서 부지휘자로 활동하며 아랍 민속 음악을 발견했다. 이러한 음악을 접하면서 달크로즈는 각기 다른 리듬 표현의 세계가 있으며, 각 세계는 특정한 작법과 고유한 연주 스타일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깨달았고, 새로운 종류의 악보를 개발했다. 1887년, 빈 음악원에 입학하여 안톤 브루크너에게 배웠다.

에밀 자크-달크로즈


달크로즈는 1892년 27세의 나이로 제네바 음악원의 화성학 교수로 임명되었지만, 1910년 퇴직하고 드레스덴 인근 헬레라우에 자신의 학교를 설립했다. 20세기 현대 무용의 많은 위대한 거장들, 예를 들어 쿠르트 조스, 한야 홀름, 루돌프 라반, 마리아 람베르트, 우다이 샹카르, 메리 위그만 등이 이 학교에서 시간을 보냈다. 1911년, 달크로즈와 그의 학생들은 세르게이 볼콘스키 공의 초청으로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모스크바에서 자신들의 작업을 선보였고, 모스크바 예술 극장에 리듬 운동을 확립하여 스타니슬라브스키의 "템포-리듬"에 영감을 주었다. 그의 작품은 1912년 하계 올림픽 예술 경기의 음악 분야에 참여했다.

달크로즈는 1914년 제네바로 돌아와 현재까지 전문 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자크-달크로즈 연구소를 열었다. 락센부르크에서 시작된 작업은 1920년 근처로 옮겨졌다. 그러나 이 학교는 나치의 등장과 함께 폐쇄되었다. 달크로즈는 1950년 7월 1일 제네바에서 사망했다.

빈 음악원에서 안톤 브루크너에게, 파리 음악원에서 마티스 루시에게 사사했다. 1886년에 알제에서 근무하던 중, 아랍 민족 음악의 리듬법에 영감을 받아 리듬 체조를 발상, 제네바 음악원에서 근무하며 그 이념과 실천 이론을 구축, 전개했다. 1910년, 독일, 드레스덴 교외 헬레라우에 학교를 설립했다.

1915년, 제네바에 [http://www.dalcroze.ch/html/en/Map.htm 자크-달크로즈 연구소]를 개교(브뤼셀에도 분교를 설치). 1925년경 독일의 음악 학교에서 음악 교육의 실천적 이론으로서 달크로즈 이론이 채택된 것을 계기로, 리듬 체조가 세계적으로 보급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에밀 자크-달크로즈는 1865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 쥴리는 페스탈로치의 제자로서, 달크로즈에게 페스탈로치의 사상과 교육 방법을 가르치며 그의 첫 음악 교사 역할을 했다.[15] 10세 때 가족과 함께 스위스 제네바로 이사했고, 1877년 제네바 음악원에 입학했다. 그는 제네바 칼리지에서도 공부했지만, 학생들의 관심사를 고려하지 않는 '감옥'과 같은 곳으로 여겼다.

1881년, 달크로즈는 문학 협회에 참여하여 작곡에 더 큰 관심을 갖게 되었다. 1884년에는 파리에서 가브리엘 포레레오 들리브에게 작곡을 배웠고, 코미디 프랑세즈의 주요 배우들에게 연기를 배웠다. 또한 마티스 루시에게 작곡을 배우면서 리듬 개발 과정에 영향을 받았다. 1886년 알제리에서 부지휘자로 활동하며 아랍 민속 음악을 접한 달크로즈는 각기 다른 리듬 표현의 세계가 있음을 깨달았고, 새로운 종류의 악보를 개발했다. 1887년, 빈 음악원에 입학하여 안톤 브루크너에게 배웠다.

1892년, 27세의 나이로 제네바 음악원의 화성학 교수로 임명되었으나,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여러 문제점을 발견했다. 학생들은 테크닉적으로는 훌륭했지만 음악적 표현에는 미숙했고, 화성학을 수학 공식처럼 외우고 소리를 듣지 못했으며, 간단한 멜로디조차 만들지 못하고 리듬 표현이 서툴렀다. 이러한 경험은 그의 교육 철학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후 달크로즈는 1910년 제네바 음악원을 퇴직하고 드레스덴 인근 헬레라우에 자신의 학교를 설립했다.

2. 2. 교수법 개발과 교육 활동

에밀 자크-달크로즈는 오스트리아의 빈 태생으로, 그의 어머니 쥴리는 페스탈로치의 제자로서 페스탈로치의 사상과 교육 방식으로 달크로즈를 성장시켰다.[15] 1875년 가족과 함께 제네바로 이주한 후, 1884년 파리에서 가브리엘 포레에 대해 연구 발표를 하고, 마티스 루시와 함께 리듬과 움직임에 대해 연구했다. 또한 파리의 라코메디-프란시스(La Comédie-Française)에서 동작과 음악연극 연구에 몰두했다.[15] 1886년 알제리알제에서 음악 감독으로 일하며 아랍 민속 음악의 불규칙하고 원시적인 리듬에 매료되었고, 이는 훗날 그의 유리드믹스 수업에 영향을 주었다. 1887년부터 빈 음악원에서 안톤 브루크너에게 작곡을 배운 후 제네바로 돌아와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활동했다.

1892년, 28세의 나이로 제네바 음악원의 화성학 교수로 임용된 달크로즈는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몇 가지 문제점을 발견했다. 학생들은 기술적으로는 훌륭했지만 음악적 표현이 미숙했고, 화성학을 수학 공식처럼 암기했으며, 간단한 멜로디를 만들지 못하고, 리듬 표현이 서툴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1900년부터 청음 및 리듬 훈련 교수법 연구에 몰입하여 유리드믹스, 솔페즈, 즉흥 연주를 연계한 독특한 교수법을 창안했다. 1905년 Solothurn Music Festival 강연을 통해 그의 교수법이 처음으로 대외적으로 알려졌다.

이후 유럽 전역에서 강연회를 열었고, 1911년 독일 드레스덴 근교 헬레라우에 학교를 설립하여 에르네스트 블로흐, 폴 클로델, 세르게이 디아길레프, 그랜빌 바커, 바슬라프 니진스키, 마리 램버트, 조지 버나드 쇼 등 당대 유명 예술가들을 교육했다. 1913년 헬레라우에서 공연한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의 오페라 “오르페오”는 달크로즈 교수법을 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1914년 제1차 세계대전 발발로 제네바로 돌아갔고, 1915년 달크로즈 인스티튜트(The Institut Jaques-Dalcroze)를 설립했다. 1919년 파리와 모스크바에 달크로즈 스쿨을 열어 스트라빈스키와 이사도라 덩컨을 포함한 많은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마더 그레이엄, 도리스 험프리, 한야 홈, 폴 테일러 등 많은 무용가들이 그의 영향을 받았으며,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레너드 번스타인 등이 그의 가르침을 받았다.

양 대전으로 스위스가 고립되는 어려움 속에서도 달크로즈 교수법은 전 세계로 퍼져나갔고, 그의 70세 생일에는 46개국 10500명의 전수자들이 서명한 책을 선물 받았다. 그의 교수법은 음악, 무용, 연극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과 신체 장애나 정서 불안을 겪는 사람들의 정신 치료에도 활용된다.

20세기 음악 교육의 새 지평을 연 혁신적인 교육법으로 인정받은 달크로즈 교수법은 코다이, 오르프 등에게도 큰 영향을 주었다. 1950년 85세로 세상을 떠나기 직전까지 왕성한 연구 활동을 펼쳤으며, 1958년 제네바 시에 그의 이름을 딴 거리가 명명되었다. 대표 저서로는 Le Rhythme, la musique et l’education(1920), Eurhythmics, Art and Education(1930) 등이 있으며, 유리드믹스와 솔페즈 학습을 위해 1000곡 이상의 노래를 작곡했다.

3. 달크로즈 교수법(Dalcroze Method)

에밀 자크-달크로즈는 더 강렬한 리듬 경험을 추구하면서 몇 가지 질문을 제기했다. 그는 음악 이론과 표기가 그것이 나타내는 소리, 움직임, 감정에서 분리된 추상적인 것으로 가르쳐지는 이유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또한 피아니스트를 예로 들면서, 교수가 가르치는 손가락 기법이 어떻게 완전한 음악 교육으로 간주될 수 있는지 질문했다. 그리고 진정한 음악가의 특징을 나타내는 자질이 음악 수업에서 거의 경험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했다.

달크로즈는 음악에서 훈련되어야 할 첫 번째 악기는 신체라고 믿었다.[1] 그는 청각과 신체적 반응을 결합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노래하고 악보를 읽는 데 신체적 반응으로 옮겨갔다.[1][6] 그는 음악을 배우고 느끼는 과정을 돕기 위해 학생들과 많은 실험을 했다. 그의 주요 목표는 악기의 도움 없이 음악적 사고, 악보 읽기 및 쓰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내면의 귀를 발달시키는 것이었다. 그의 방법론을 구축하면서, 학생들을 관찰했고, 음악 세계에서 박자에 맞춰 연주할 수 없는 학생들이 현실 세계에서는 박자에 맞춰 걸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걷는 것은 완전히 자발적이고 쉬웠다.[10] 그는 그의 훌륭한 학생들 중 일부가 발을 사용하여 박자를 치거나 음악에 맞춰 머리와 몸을 흔드는 것을 관찰했다. 이러한 신체적 반응은 모든 연령대와 문화에 자연스럽고 일반적이었다.

그는 학생들이 크레센도를 따라 움직임을 바꾸고, 음악의 강세에 신체적으로 반응한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또한 구절이 끝날 때 근육을 이완했다. 학생들이 음악을 듣고 그 효과를 느끼는 것처럼 보이자, 그는 학생들이 피아노가 아니라 스스로가 악기라고 결론 내렸다.

달크로즈는 학생들이 음악적 이해보다는 기계적인 이해를 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그들은 음악 이론 수업에서 작곡한 화성을 듣지 못했고, 단순한 멜로디와 화음 시퀀스를 만들 수 없었다. 이것은 연주에 문제를 일으키는 음악적 감수성의 부족으로 이어졌다. 그의 목표는 학생들이 음악을 느끼고, 듣고, 창조하고, 상상하고, 연결하고, 기억하고, 읽고, 쓰고, 연주하고 해석하는 기술을 개발하도록 돕는 방법을 찾는 것이었다. 그는 학생들을 정신과 신체, 감정과 표현 사이의 갈등에서 해방시키기 위해 노력했다.[11]

달크로즈는 감각과 더 밀접하게 관련된 음악의 측면이 리듬과 움직임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음악의 세 가지 요소인 음높이, 리듬, 다이내믹과 관련하여 그는 마지막 두 요소가 완전히 움직임에 의존한다는 것을 인식했다. 그는 또한 근육 시스템에서 그들의 가장 좋은 모델을 발견했다. 그에게 모든 정도의 시간(템포)은 몸을 통해 경험하고, 이해하고, 표현될 수 있다. 그는 음악적 감정의 열정은 신체 감각의 예민함에 달려 있다고 느꼈다. 그는 강렬한 청취와 신체의 반응의 조합이 강력한 음악적 힘을 생성하고 방출할 것이라고 확신했다.

달크로즈는 자신의 이론을 시험할 실험실이 필요했다. 학생들과 함께 일하면서 그는 자신만의 작업 공간을 고용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음악을 실용적인 교육 도구로 전환할 수 있는 원리, 교육 전략, 교육 스타일 및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그가 개발한 원리와 방법은 독특하고 새로운 것이었기에 그는 그것들에게 특별한 이름, 즉 율동법을 부여했다.[12]

처음에 달크로즈는 많은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특정 시간(소리의 속도 또는 시간)과 특정 공간(소리의 지속 시간)에서, 그리고 특정한 힘(소리의 에너지 다이내믹)으로 음악가들에게 수축하고 이완하는 것을 가르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그는 학생들이 미터법에 의한 지각과 리듬이라고 불리는 움직임의 많은 흐름에 의한 본능을 강화하도록 돕기 위해 설계된 새로운 일련의 연습을 시작했다. 그런 다음 그는 음악을 연주하고 학생들이 맥박을 느끼는 대로 걷도록 제안하는 연습을 제안하기 시작했다. 놀랍게도 학생들은 다르게 행동했고, 다른 템포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따라서 그는 사람들이 여전히 리듬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속도, 정확성 및 연주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추론했다. 그는 이해하고 분석하는 뇌와 수행하는 근육 사이의 빠른 의사 소통 시스템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1909년 르 그랑-사코넥에서 자크-달크로즈의 학생들, 프레데릭 보아소나스 촬영


달크로즈 이론은 "움직임을 통해 음악의 여러 개념을 가르치는" 이론이다. 어떤 종류의 동작 및 그 유사성을 띤 동작으로 음악의 개념을 표현함으로써 음악 표현에 관한 일관되고 자연스러운 감각을 얻는다. 신체 그 자체를 잘 조율된 악기로 변화시키는 것이 확실하고 선명한 음악의 기초를 익히는 데 가장 적합하다고 달크로즈는 생각했다. 달크로즈 이론은 리듬체조, 시창・청음, 즉흥 연주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달크로즈에 따르면, 이 세 가지 요소가 결합됨으로써 음악가로서 필요한 모든 요소를 배울 수 있는 훈련이 된다고 한다. 이론상으로는, 각 과목에서 이러한 요소들을 섞어가면서 창의성과 동작을 바탕으로 음악을 가르치게 된다.

3. 1. 이론적 배경

에밀 자크-달크로즈는 더 강렬한 리듬 경험을 추구하면서 몇 가지 질문을 제기했다. 그는 음악 이론과 표기가 그것이 나타내는 소리, 움직임, 감정에서 분리된 추상적인 것으로 가르쳐지는 이유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또한 피아니스트를 예로 들면서, 교수가 가르치는 손가락 기법이 어떻게 완전한 음악 교육으로 간주될 수 있는지 질문했다. 그리고 진정한 음악가의 특징을 나타내는 자질이 음악 수업에서 거의 경험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했다.

달크로즈는 음악에서 훈련되어야 할 첫 번째 악기는 신체라고 믿었다.[1] 그는 청각과 신체적 반응을 결합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노래하고 악보를 읽는 데 신체적 반응으로 옮겨갔다.[1][6] 그는 음악을 배우고 느끼는 과정을 돕기 위해 학생들과 많은 실험을 했다. 그의 주요 목표는 악기의 도움 없이 음악적 사고, 악보 읽기 및 쓰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내면의 귀를 발달시키는 것이었다. 그의 방법론을 구축하면서, 학생들을 관찰했고, 음악 세계에서 박자에 맞춰 연주할 수 없는 학생들이 현실 세계에서는 박자에 맞춰 걸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걷는 것은 완전히 자발적이고 쉬웠다.[10] 그는 그의 훌륭한 학생들 중 일부가 발을 사용하여 박자를 치거나 음악에 맞춰 머리와 몸을 흔드는 것을 관찰했다. 이러한 신체적 반응은 모든 연령대와 문화에 자연스럽고 일반적이었다.

그는 학생들이 크레센도를 따라 움직임을 바꾸고, 음악의 강세에 신체적으로 반응한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또한 구절이 끝날 때 근육을 이완했다. 학생들이 음악을 듣고 그 효과를 느끼는 것처럼 보이자, 그는 학생들이 피아노가 아니라 스스로가 악기라고 결론 내렸다.

달크로즈 이론은 "움직임을 통해 음악의 여러 개념을 가르치는" 이론이다. 신체 그 자체를 잘 조율된 악기로 변화시키는 것이 확실하고 선명한 음악의 기초를 익히는 데 가장 적합하다고 달크로즈는 생각했다. 달크로즈 이론은 리듬체조, 시창・청음, 즉흥 연주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3. 2. 구성 요소

에밀 자크-달크로즈는 음악의 가장 근본적인 요소인 리듬을 신체적인 움직임을 통해 경험하도록 하는 유리드믹스(Eurhythmics)를 개발했다.[15] 유리드믹스의 유(Eu)는 '좋다(Good)'는 의미로, 좋은 리듬을 뜻한다. 달크로즈는 음악의 질이 리듬에서 온다고 보았으며, 리듬의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 음악을 이해하는 핵심이라고 생각했다.[15] 그는 음악적 현상을 지각하고 신체적으로 반응하는 것이 음악적 아이디어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여겼다.[16]

달크로즈는 학생들이 음악적 이해보다는 기계적인 이해를 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음악을 느끼고, 듣고, 창조하고, 상상하고, 연결하고, 기억하고, 읽고, 쓰고, 연주하고 해석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11] 그는 음악의 세 가지 요소인 음높이, 리듬, 다이내믹 중에서 리듬과 다이내믹이 움직임에 의존한다고 보았으며, 모든 정도의 템포는 몸을 통해 경험하고 표현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12]

달크로즈는 자신의 이론을 시험하기 위해 학생들과 함께 작업 공간을 마련하고, 음악을 실용적인 교육 도구로 전환할 수 있는 원리, 교육 전략, 교육 스타일 및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그가 개발한 원리와 방법은 독특하고 새로운 것이었기에 그는 그것들에게 특별한 이름, 즉 율동법을 부여했다.[12]

1905년, 달크로즈는 아름다운 음악, 집중적인 청취, 의식적으로 즉흥적으로 이루어지는 움직임을 연결하여 수천 개의 게임과 연습을 구성했다. 그에 따르면, 교수는 음악 수업에서 활동에 사용할 노래를 즉흥적으로 연주할 수 있어야 한다.[13]

달크로즈 이론은 "움직임을 통해 음악의 여러 개념을 가르치는" 이론이다. 어떤 종류의 동작 및 그 유사성을 띤 동작으로 음악의 개념을 표현함으로써 음악 표현에 관한 일관되고 자연스러운 감각을 얻는다. 달크로즈 이론은 리듬체조, 시창・청음, 즉흥 연주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달크로즈에 따르면, 이 세 가지 요소가 결합됨으로써 음악가로서 필요한 모든 요소를 배울 수 있는 훈련이 된다.

3. 3. 교육 목표 및 기법

에밀 자크-달크로즈는 음악의 가장 근본적인 요소인 리듬을 먼저 개발하여 음악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고 보았다.[15] 그는 음악의 질이 리듬에서 온다고 보았으며, 리듬의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 음악의 맛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흐름결(음악교육에서 단순한 리듬을 떠나 비트, 빠르기, 셈여림, 박자, 패턴 등 다양한 개념을 포괄적으로 이르는 말)은 음악의 기초이며, 선율, 화음, 형식 등의 요소를 신체적인 움직임을 통해 경험하도록 이끌었다.[16] 그는 음악적 현상을 지각하면서 신체적으로 반응하는 것이 음악적 아이디어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생각했다.

달크로즈의 음악교육법은 유리드믹스, 솔페지(계이름 부르기), 즉흥의 세 가지 주된 틀을 가진다.[16] 리듬 감각의 세련은 기초적인 조건이므로, 귀뿐만 아니라 육체 전체의 리드미컬한 운동을 통해 올바른 리듬 감각을 기를 수 있도록 했다. 독보력을 길러 초견을 잘 하도록 하기 위해 집중력과 음악적 두뇌를 발달시키고, 이동도법과 고정도법 지도, 절대음감 기르는 게임 등을 통해 음악에서 수직적으로 나타나는 요소들의 움직임의 연결을 경험하고 표현하도록 했다.

달크로즈 에우리듬스는 다음 3가지 개념을 실천한다.

  • 에우리듬스 – 움직임을 통한 음악적 표현. 운동 연습을 통해 음악적 기술을 개발하며, 학생들은 음악을 듣고 즉흥적인 신체 움직임을 통해 들리는 것을 표현함으로써 리듬과 구조를 배운다.
  • 솔페즈 – 청음 및 시창 기술 개발. 달크로즈는 모든 어린이가 절대 음감을 기를 수 있다고 믿고 고정된 으뜸음(고정-도) 솔페즈 시스템을 활용했다.
  • 즉흥 연주 – 악기, 움직임 및 목소리 사용.


1905년, 달크로즈는 아름다운 음악, 집중적인 청취, 의식적으로 즉흥적으로 이루어지는 움직임을 연결하여 수천 개의 게임과 연습을 구성했다. 그는 교수가 음악 수업에서 활동에 사용할 노래를 즉흥적으로 연주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13]

달크로즈가 접근한 움직임은 템포, 지속 시간, 다이내믹, 악센트 및 기타 요소를 표현하기 위한 움직임, 자세, 제스처이다.[13] 달크로즈 이론은 "움직임을 통해 음악의 여러 개념을 가르치는" 이론으로, 신체 그 자체를 잘 조율된 악기로 변화시키는 것이 확실하고 선명한 음악의 기초를 익히는 데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했다. 달크로즈 이론은 리듬체조, 시창・청음, 즉흥 연주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이 세 가지 요소가 결합됨으로써 음악가로서 필요한 모든 요소를 배울 수 있는 훈련이 된다고 한다.

달크로즈는 그의 교육 목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정신 및 정서: 인식, 집중력, 사회 통합, 깨달음, 미묘함의 표현.

#신체: 수행의 용이성 증진, 정확한 수행, 수행을 통한 개인적 표현력 개발.

#음악: 민첩성, 정확성, 편안함, 청취에 대한 표현적인 개인적 반응, 분석, 작곡 및 즉흥 연주.

그의 교육 기법을 활용한 주요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피아노를 위한 ''12개의 작은 선율적 및 리듬적 연구'' (베를린: 심록, 1913)
  • 피아노를 위한 ''16개의 조형적 연구'' (베를린: 심록, 1913)
  • 피아노를 위한 ''20개의 카프리스와 리듬 연구'' (런던: 아우게너, 1920)
  • 피아노를 위한 ''50개의 미니어처 음계 및 리듬 연습곡'' (파리: 세나르, 1923)
  • ''10개의 조형적 연구를 위한 무언의 다성부 노래'' (베를린: 심록)
  • ''3개의 보컬리제'' (파리: 위겔)
  • ''6개의 실용적인 음정 연습'' (로잔: 푀티쉬)
  • 피아노를 위한 어린이 및 청소년을 위한 ''6개의 리듬 게임'' (파리: 위겔)
  • 피아노를 위한 ''6개의 작은 교대 리듬 곡'' (로잔: 푀티쉬)
  • 피아노를 위한 ''리듬 스케치'' (로잔: 푀티쉬)
  • 피아노를 위한 ''무질서 연습'' (파리: 에노크)
  • 목소리를 위한 ''아름다운 음악, 아주 어린 아이들을 위한 게임과 연습'' (르 로클: 위게닌)
  • 목소리와 피아노를 위한 ''리듬 행진곡'' (로잔: 푀티쉬)
  • 피아노를 위한 ''미터와 리듬, 200개의 연구'' (파리: 르모인)
  • ''모던 음계 학교'' (R. 루예네만과 함께) (런던: 체스터)
  • ''타악기가 있는 작은 피아노 곡'' (파리: 에노크)
  • 목소리와 피아노를 위한 ''노래와 춤의 리듬'' (파리: 위겔)

4. 영향 및 유산

4. 1. 한국에의 영향

4. 2. 관련 인물

5. 주요 저서


  • 음악 학교 수업 개혁 제안 (게알토 후구리히, 1905)
  • ''리듬''(2권) (로잔: 푀티슈, 1906년 및 1918년)
  • ''음악의 음표''(로잔: 푀티슈)
  • ''음계와 음조, 구문과 뉘앙스''(3권) (로잔: 푀티슈, 1907)
  • ''라 본 샹송'', "로망드 스위스 가제트 뮤지칼" 1894년 11월 1일
  • ''애니메이션 플라스틱''(로잔: 푀티슈)
  • ''호흡과 근육 신경 지배''(로잔: 푀티슈, 1907)
  • ''리듬, 음악 및 교육''(파리, 1920년 및 1935년); ''리듬, 음악 및 교육'' (바젤: 베노 슈와베, 1922)
  • ''추억. 메모와 비평''(뇌샤텔: 아팅거, 1942)
  • ''음악과 우리. 우리 이중 생활의 노트''(제네바: 페레-장티, 1945)
  • ''바리올레 노트''(제네바: 제헤베르, 1948)
  • Marie-Laure Bachmann영어, ''오늘날의 달크로즈: 음악을 통한, 그리고 음악으로의 교육''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1993)
  • J. Timothy Caldwell영어, ''표현적 노래: 달크로즈 에우리듬스를 위한'' (Pearson Education, 1995)
  • Choksy, Lois; Abramson, Robert M.; Gillespie, Avon E.; Woods, David; York, Frank영어, ''21세기의 음악 교육'' (Pearson Education, 2001)
  • Ethel Driver영어, ''달크로즈 에우리듬스로 가는 길'' (Thomas Nelson & Sons, 1951)
  • Elsa Findlay영어, ''리듬과 움직임: 달크로즈 에우리듬스의 적용'' (Alfred Music, 1999)
  • Michael L. Mark영어, ''현대 음악 교육''(3판) (Cengage Learning, 1996)
  • Elizabeth Vanderspar영어, ''달크로즈 핸드북: 에우리듬스 교육을 위한 원칙과 지침'' (Roehampton Institute, 1984)
  • William Todd Anderson영어, "달크로즈 음악 교육 접근법: 이론과 적용", ''General Music Today'', 26(1), 27–33 (2012년 10월)
  • Timothy Caldwell영어, "학습 기술에 대한 달크로즈 관점: 가르침의 가장 중요한 측면 중 하나는 학생들이 어떻게 배우는가이다. 티모시 콜드웰은 에밀 자크-달크로즈의 리듬 체조 방법을 사용하여 그 측면을 검토한다.", ''Music Educators Journal'', 79(7), 27–29 (1993년 3월)
  • Jacqueline Vann영어, "음악을 움직이게 하기," ''ABRSM 매거진 리브레토'' (2003년 12월)
  • Anita Strevens영어, "음악 속으로 발을 들여놓다," ''Primary Music Today'' 32 (2005년 3월)
  • Anita Strevens영어, "달크로즈 리듬 체조를 활용한 어린 귀를 위한 음악과 움직임," ''NAME 매거진'' 22 (2007년 3월)
  • James W. Lee영어, ''다른 이름의 달크로즈: 초기 근대 연극과 무용에서의 리듬 체조'' (2003년 8월)

참조

[1] 논문 The listening actor: intersections between the musicality of Meisner Technique and ear training in Dalcroze Eurhythmics https://www.tandfonl[...] 2023-01-02
[2] 논문 More than Mere Movement – Dalcroze Eurhythmics
[3]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Women Composers Books & Music U.S.A. Inc.
[4] 논문 From Hellerau to Here: Tracing the Lineage and Influence of Dalcroze Eurhythmics on the Family Tree of Theatre Pedagogy 2023-06-30
[5] 서적 Teaching Music in the Twenty-First Century Pearson Education 2001
[6] 논문 From Hellerau to Here: Tracing the Lineage and Influence of Dalcroze Eurhythmics on the Family Tree of Theatre Pedagogy 2023-06-30
[7] 논문 Konstantin Stanislavski and Emile Jaques-Dalcroze: historical and pedagogical connections between actor training and music education 2021-07-03
[8] 학위논문 Dalcroze by any other name: Eurhythmics in early modern theatre and dance 2003-08
[9] 웹사이트 Émile Jaques-Dalcroze https://www.olympedi[...] 2020-07-22
[10] 간행물 Getting music to move ABRSM magazine Libretto 2003-12
[11] 간행물 Stepping into music Primary Music Today 2005-03
[12] 간행물 Music and Moviment for the early ears using Dalcroze Eurythmics NAME Magazine 2007-03
[13] 웹사이트 The Dalcroze Method: A Primer http://musiced.about[...]
[14] 웹사이트 Eliška Bláhová – moderní žena počátku 20. století https://www.tanecnia[...] 2016-07-01
[15] 웹인용 달크로즈 유드리믹스 교육원 http://www.eurhy.com[...] 2009-07-20
[16] 웹사이트 네이트 지식 http://ask.nate.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